- 카르니틴
- Carnitine
- 유기화합물
- 정전기방지제모발컨디셔닝제피부컨디셔닝제계면활성제-세정제계면활성제-거품형성제점증제-수용성
- 카보머
- Carbomer
- 펜타에리스리톨의 알릴에텔수크로스의 알릴에텔 혹은 프로필렌의 알릴에텔로 가교된 아크릴릭애씨드의 호모폴리머이다.
- 유화안정제 점증제-수용성
- 카멜리아씨오일
- Camellia Chekiangoleosa Seed Oil
- 카멜리아의 씨를 압착하여 얻은 오일이다.
- 모발컨디셔닝제 피부컨디셔닝제.
- 카올린
- Kaolin
- 천연의 함수알루미늄실리케이트이다.
- 스크럽제 흡수제 피부보호제.
- 카퍼글루코네이트
- Copper Gluconate
- 글루코닉애씨드의 카퍼염이다.
- 피부컨디셔닝제.
- 카프릴릭/카프릭트리글리세라이드
- Caprylic/Capric Triglyceride
- 카프릴릭애씨드 및 카프릭애씨드와 글리세린의 트리에스터 혼합물이다.
- 향료 수분증발차단제.
- 카프릴릴글라이콜
- Caprylyl Glycol
- 디올
- 모발컨디셔닝제 피부유연화제.
- 칼슘설페이트
- Calcium Sulfate
- 무기염
- 스크럽제 불투명화제.
- 칼슘판토테네이트
- Calcium Pantothenate
- 판토테닉애씨드의 칼슘염이다.
- 모발컨디셔닝제.
- 캐모마일꽃수
- Chamomilla Recutita (Matricaria) Flower Water
- 캐모마일의 꽃을 수증기 증류하여 얻은 수용액이다.
- 향료.
- 캐모마일꽃추출물
- Anthemis Nobilis Flower Extract
- 캐모마일의 꽃에서 추출한 것이다.
- 향료 피부컨디셔닝제 수분증발차단제.
- 캐비어추출물
- Caviar Extract
- 철갑상어과의 철갑상어 알에서 추출한 것이다.
- 피부컨디셔닝제.
- 케라틴
- Keratin
- 동물의 털 양모 뿔 손톱 발톱 혹은 다른 유사 조직에서 유래된 단백질이다.
- 모발컨디셔닝제 피부컨디셔닝제.
- 코세스-7
- Coceth-7
- 코코넛알코올의 폴리에칠렌글라이콜 유도체이다. R은 코코넛오일에서 유래한 패티알코올이며n은 평균 7이다.
- 계면활성제-유화제.
- 코엔자임큐텐
- Ubiquinone
- 유기화합물
- 산화방지제 피부컨디셔닝제.
- 코카마이드디이에이
- Cocamide DEA
- 코코넛애씨드의 에탄올아마이드의 혼합물이다.
- 계면활성제-거품형성제 점증제-수용성.
- 코카미도프로필베타인
- Cocamidopropyl Betaine
- 양성이온
- 정전기방지제모발컨디셔닝제피부컨디셔닝제계면활성제-세정제계면활성제-거품형성제점증제-수용성
- 코코넛오일
- Cocos Nucifera (Coconut) Oil
- 야자의 씨를 압착하여 얻은 불휘발성 오일이다.
- 향료 모발컨디셔닝제 피부컨디셔닝제 수분증발차단제.
- 콜라겐
- Collagen
- 단백질.
- 모발컨디셔닝제 피부컨디셔닝제.
- 콜레스테롤
- Cholesterol
- 사이클로펜타노페난트렌 시스템의 모노-불포화 2차 알코올이다.
- 유화안정제 피부컨디셔닝제.
- 콜로이달백금
- Colloidal Platinum
- 피부컨디셔닝제.
- 콩추출물
- Glycine Max (Soybean) Seed Extract
- 대두의 또는 돌콩의 씨에서 추출한 것이다.
- 스크럽제 벌킹제.
- 쿼터늄-18벤토나이트
- Quaternium-18 Bentonite
- 벤토나이트와 쿼터늄-18의 반응물이다.
- 현탁화제-비계면활성제.
- 클로렐라추출물
- Chlorella Minutissima Extract
- 클로렐라에서 추출한 것이다.
- 피부교질화제.
- 클로페네신
- Chlorphenesin
- 유기화합물
- 살균보존제.
- 클림바졸
- Climbazole
- 유기화합물
- 살균보존제
-카나우바왁스(Copernicia Cerifera (Carnauba) Wax)
-EWG의 위험지수: 0
-식물성. 피부컨디셔닝제. 결합제.
-카나우바 야자나무 잎에서 얻는 왁스이며, 크림의 질감을 내는 데 사용한다. 피부를 보호하는 효과도 있으며, 색조 화장품에 많이 사용한다.
-카라기난(Chondrus Crispus (Carrageenan))
-EWG의 위험지수: 0
-돌가사리과 (Gigartinaceae) 또는 끈적살과 (Solieriaceae)에 속하는 다양한 홍조류로부터 얻은 식물성 물질이다.
-식물성. 점도증가제. 결합제. 향료. 모발컨디셔닝제
-해조류에서 얻는 성분이며, 피부 자극을 진정시키는 효과가 있다.
-카라기난추출물(Chondrus Crispus (Carrageenan) Extract)
-EWG의 위험지수: 0
-카라기난 (Chondrus crispus)의 전초에서 추출한 것이다.
-식물성. 점도증가제. 결합제. 피부컨디셔닝제
-카라멜(Caramel)
-EWG의 위험지수: 1
-수크로오스 혹은 글루코오스 용액을 가열 농축하여 얻은 용액이다.
-화학성. 착색제. 향료
-카렌둘라(카렌듈라)꽃추출물/오일(Calendula Officinalis Extract)
-EWG의 위험지수: 0
-식물성. 활성성분.
-소염효과와 소독작용이 있는 성분이며, 피부를 진정시킬뿐만 아니라 재생시키는 작용도 한다.
-살균효과가 뛰어나 피부염 및 피부 상처, 염증, 종기 치료에 이용된다.
-지혈성 수렴효과를 보인다.
-햇빛에 노출된 피부를 보호하는 제품이나 치약에 주로 사용한다.
-카르니틴(Carnitine)
-EWG의 위험지수: 1
-유기화합물이다.
-복합성. 피부 및 헤어컨디셔닝제 .정전기방지제. 계면활성제-세정제. 계면활성제-거품형성제. 점증제-수용성
-카르본(Carvone)
-EWG의 위험지수: 3
-터펜이다.
-복합성. 감미제. 향료
-카멜리아키시(Camellia Kissi Seed Oil)
-EWG의 위험지수: 0
-카멜리아키시 (Camellia kissi)의 씨에서 얻은 불휘발성 오일이다.
-식물성. 활성성분. 피부유연화제. 수분증발차단제
-페놀을 풍부하게 함유하고 있다.
-카바잎/뿌리/줄기추출물(Piper Methysticum Leaf/Root/Stem Extract)
-EWG의 위험지수: 3
-카바 (Piper methysticum)의 잎, 뿌리 및 줄기에서 추출한 것이다.
-식물성. 피부컨디셔닝제.
-피부 보호 효과가 있는 귀중한 활성성분이다.
-피부를 진정시키는 작용을 하며, 살균 및 치료 기능이 있다.
-카보머(Carbomer)
-EWG의 위험지수: 0
-아크릴산의 하나이다.
-화학성. 유화안정제. 점착제. 점증제-수용성
-화장품 제조사에서 가장 많이 쓰이는 점증제중 하나이다.
-카복시메칠키틴(Carboxymethyl Chitin)
-EWG의 위험지수: 0
-키틴의 카르복시메칠 유도체이다.
-동물성. 피막형성제. 모발컨디셔닝제. 피부컨디셔닝제. 점증제-수용성
-해양 생물의 등껍질에서 얻는 성분이다.
-카복시메칠하이드록시프로필구아(Carboxymethyl Hydroxypropyl Guar)
-EWG의 위험지수: 0
-복합성. 유화안정제. 점착제
-카스카라사그라다(Rhamnus Purshiana)
-EWG의 위험지수: 0
-갈매나무껍질을 분쇄하여 얻은 성분이다.
-식물성. 착색제.
-카올린(Kaolin)
-EWG의 위험지수: 1-2
-천연의 함수알루미늄실리케이트이다.
-광물성. 흡수력이 강한 물질. 스크럽제. 흡수제. 안티케이킹제. 벌킹제. 불투명화제. 피부보호제. 미끄럼개선제.
-피지를 흡수하는 효과가 우수하고, 피지 생성을 완화하는 기능이 있는 성분이다.
-마스크용 제품에 사용한다.
-카우슬립추출물(Primula Veris Extract)
-EWG의 위험지수: 0
-카우슬립 (Primula verise)의 전초에서 추출한 것이다.
-식물성. 활성성분. 피부컨디셔닝제.
-카카두플럼추출물(Terminalia Ferdinandiana Fruit Extract)
-EWG의 위험지수: 0
-카카두플럼 (Terminalia ferdinandiana)의 열매에서 추출한 것이다.
-식물성. 활성성분. 산화방지제
-카카오씨드버터(Theobroma Cacao (Cocoa) Seed Butter)
-EWG의 위험지수: 0
-카카오나무 (Theobroma cacao)의 씨를 구워서 얻은 황백색의 고형 물질이다.
-식물성. 결합제. 피부컨디셔닝제. 향료. 수분증발차단제. 피부보호제.
-카테츄씨가루(Acacia Catechu Seed Powder)
-EWG의 위험지수: 0
-식물성. 착색제.
-콩과 식물인 '카테츄나무'에서 염모제의 원료가 되는 밝은 갈색의 가루를 얻을 수 있다.
-카퍼글루코네이트(Copper Gluconate)
-EWG의 위험지수: 1-2
-글루코닉애씨드의 카퍼염이다.
-복합성. 활성성분. 피부컨디셔닝제
-카퍼아세틸메치오네이트(Copper Acetylmethionate)
-EWG의 위험지수: 1
-복합성. 활성성분. 피부컨디셔닝제
-카페인(Caffeine)
-EWG의 위험지수: 4
-헤테로사이클릭 유기화합물이다.
-식물성. 활성성분. 향료, 피부컨디셔닝제.
-혈액순환을 촉진하고, 신체에 활력을 준다.
-각성제와 이뇨제로 셀룰라이트 형성을 억제하기 위해 널리 사용되고 있으며, 피부의 신진대사를 촉진시키고 피부 결을 개선시킨다.
-카프릴로일글라이신(Capryloyl Glycine)
-EWG의 위험지수: 0
-카프릴릭애씨드클로라이드로 글라이신을 아실레이션한 물질이다.
-복합성. 모발컨디셔닝제. 계면활성제-세정제
-카프릴로일살리실릭애씨드(Capryloyl Salicylic Acid)
-EWG의 위험지수: 1
-복합성. 활성성분. 살균 작용을 한다.
-카프릴릭/카프릭/리놀레익트리글리세라이드(Caprylic/Capric/Linoleic Triglyceride)
-EWG의 위험지수: 0
-식물성. 유화제. 피부를 매끄럽게 하고 치료 기능이 있다.
-카프릴릭/카프릭/미리스틱/스테아릭트리글리세라이드
(Caprylic/Capric/Myristic/Stearic Triglyceride)
-EWG의 위험지수: 0
-카프릴릭애씨드, 카프릭애씨드, 미리스틱애씨드 및 스테아릭애씨드와 글리세린의 트리에스터 혼합물.
-식물성. 피부컨디셔닝제. 수분증발차단제
-카프릴릭/카프릭/석시닉트리글리세라이드(Caprylic/Capric/Succinic Triglyceride)
-EWG의 위험지수: 0
-카프릴릭애씨드, 카프릭애씨드 및 석시닉애씨드와 글리세린의 트리에스터 혼합물이다.
-복합성. 피부컨디셔닝제. 피부유연화제.
-카프릴릭/카프릭/스테아릭트리글리세라이드(Caprylic/Capric/Stearic Triglyceride)
-EWG의 위험지수: 0
-카프릴릭애씨드, 카프릭애씨드 및 스테아릭애씨드와 글리세린의 트리에스터 혼합물이다.
-식물성. 유화제. 수분증발차단제
-카프릴릭/카프릭트리글리세라이드(Caprylic/Capric Triglyceride)
-EWG의 위험지수: 0-1
-카프릴릭애씨드 및 카프릭애씨드와 글리세린의 트리에스터 혼합물이다.
-식물성. 용제. 피부컨디셔닝제. 향료. 수분증발차단제
-피부를 매끄럽게 하고 유분기를 공급한다.
-카프릴릭트리글리세라이드(Caprylic Triglyceride)
-EWG의 위험지수: 0-1
-식물성. 피부컨디셔닝제.
-카프릴릴글라이콜(Caprylyl Glycol)
-EWG의 위험지수: 0
-디올이다.
-화학성. 피부컨디셔닝제. 모발컨디셔닝제. 피부유연화제.
-보습 작용을 하며, 피부에 수분을 조절하는 기능을 한다.
-카프릴릴/카프릴글루코사이드(Caprylyl/Capryl Glucoside)
-EWG의 위험지수: 0
-알킬글루코사이드이다.
-식물성. 유화제. 당계면활성제. 계면활성제-세정제.
-칸데릴라왁스(Euphorbia Cerifera (Candelilla) Wax)
-EWG의 위험지수: 0
-등대풀속과에 속하는 식물인 칸데릴라에서 추출한 왁스다.
-식물성. 결합제. 수렴제. 유화안정제. 피막형성제. 향료. 피부컨디셔닝제. 수분증발차단제. 점증제-비수용성.
-피부를 보호하고, 유분기를 공급하고, 매끄럽게 해준다.
-점성이 높아 응고시킨 형태로 립스틱에 주로 사용한다.
-칸디다봄비콜라/글루코오스/메칠레이프씨데이트발효물
-(Candida Bombicola/Glucose/Methyl Rapeseedate Ferment)
-EWG의 위험지수: 0
-칸디다봄비콜라(Candida bombicola)로 글루코오스와 메칠레이프씨데이트를 발효시켜 얻은 물질이다.
-생체기술. 활성성분. 탈취제. 계면활성제-세정제
-칼라민(Calamine)
-EWG의 위험지수: 0-1
-약 0.5% 페릭옥사이드가 첨가된 주로 징크옥사이드로 구성된 물질이다
-광물성. 착색제. 흡수제. 불투명화제. 피부보호제
-분말 형태의 성분이며, 햇빛에 탄 피부를 치유하는 기능이 있다.
-칼메그잎추출물(Andrographis Paniculata Leaf Extract)
-EWG의 위험지수: 0
-식물성. 활성성분.
-칼슘글리세로포스페이트(Calcium Glycerophosphate)
-EWG의 위험지수: 0
-유기화합물이다.
-화학성. 활성성분.
-구강을 보호하는 작용을 하며, 구루병에도 효과가 있다.
-칼슘모노플루오로포스페이트(Calcium Monofluorophosphate)
-EWG의 위험지수: 0
-화학성. 활성성분.
-구강청정제에 주로 사용하며 충치를 예방하는 효과가 있다.
-칼슘설파이드(Calcium Sulfide)
-EWG의 위험지수: 1-3
-광물성.
-제모 기능이 있는 성분이다.
-칼슘소듐보로실리케이트(Calcium Sodium Borosilicate)
-EWG의 위험지수: 0
-본래 칼슘 및 소듐보로실리케이트로 구성된 유리이다.
-광물성. 피부컨디셔닝제. 벌킹제
-칼슘스테아레이트(Calcium Stearate)
-EWG의 위험지수: 1
-스테아릭애씨드의 칼슘염이다.
-복합성. 유화안정제. 보조유화제. 안티케이킹제. 착색제. 유화안정제. 점증제-비수용성
-칼슘실리케이트(Calcium Silicate)
-EWG의 위험지수: 0
-칼슘옥사이드 및 실리카의 비율이 다양한 함수 혹은 무수 실리케이트이다.
-복합성. 규산염. 흡수제. 벌킹제. 불투명화제
-팩이나 분말의 원료로 사용한다.
-칼슘알루미늄보로실리케이트(Calcium Aluminum Borosilicate)
-EWG의 위험지수: 0
-본래 칼슘 및 알루미늄보로실리케이트로 구성된 유리이다.
-광물성. 유리성분. 벌킹제.
-안료로 사용하거나 착색보조제로 사용한다.
-칼슘알지네이트(Calcium Alginate)
-EWG의 위험지수: 1
-알지닉애씨드의 칼슘염이다.
-식물성. 점증제-수용성. 향료.
-'레소니아플라비칸스'라는 갈색 해조류에서 얻는 성분이다.
-칼슘카보네이트(Calcium Carbonate)
-EWG의 위험지수: 1
-무기염이다.
-광물성. 스크럽제. pH 완충제. 벌킹제. 불투명화제.
-세정기능이 있는 미세 분말 형태로 주로 치약에 사용한다.
-칼슘클로라이드(Calcium Chloride)
-EWG의 위험지수: 2
-무기염이다.
-광물성. 첨가물. 수렴제. 점증제-수용성
-칼슘판테테인설포네이트(Calcium Pantetheine Sulfonate)
-EWG의 위험지수: 0
-판테테인의 S-설포네이트의 칼슘염이다.
-복합성. 헤어컨디셔닝제. 피부컨디셔닝제.
-칼슘판토테네이트(Calcium Pantothenate) EWG의 위험지수: 1
-판토테닉애씨드의 칼슘염이다.
-화학성. 치료효과가 있는 활성성분. 모발컨디셔닝제. 비타민B군의 염이다.
-칼슘포스페이트(Calcium Phosphate)
EWG의 위험지수: 1
-무기염이다.
-복합성. 분말 원료. 스크럽제. pH 완충제. 벌킹제.
-칼슘플루오라이드(Calcium Fluoride)
EWG의 위험지수: 6
-복합성. 활성성분.
-구강 청정 효과가 있는 성분이다.
-칼슘하이드록사이드(Calcium Hydroxide)
EWG의 위험지수: 1-2
-무기염기이다.
-복합성. 보형제. pH 조절제.
-산도를 조절하는 작용을 하며, 강한 염기성을 나타내는 유연제다.
-순도 100%일 경우에는 부식성이 매우 강하여 취급시 주의해야 한다.
-캐놀라오일(Canola Oil)
EWG의 위험지수: 1
-에루식애씨드의 함량이 낮은 서양유채 (Brassica campestris)의 오일이다.
-식물성. 활성성분. 수분증발차단제.
-피부에 유분기를 공급한다.
-캐러웨이열매오일(Carum Carvi (Caraway) Fruit Oil)
EWG의 위험지수: 1
-캐러웨이 (Carum carvi)의 열매에서 얻은 휘발성 오일이다.
-식물성. 활성성분. 향료
-캐럽콩검(Ceratonia Siliqua Gum)
EWG의 위험지수: 1
-캐럽콩 (Ceratonia siliqua)의 성숙한 열매의 씨를 분쇄하여 얻은 것이다.
-식물성. 유화안정제. 점착제. 결합제. 향료. 점증제-수용성
-캐럽콩추출물(Ceratonia Siliqua (Carob) Fruit Extract)
EWG의 위험지수: 0
-캐럽콩 (Ceratonia siliqua)의 열매를 추출한 것이다.
-식물성. 활성성분. 향료. 피부컨디셔닝제
-캐모마일(Chamomila Recutita)
EWG의 위험지수: 0
-식물성. 착색제. 활성성분.
-자극을 받아 붉게 변한 피부를 진정시키고 부드럽게 만들어줄 뿐 아니라 소염 작용과 살균 기능이 있다.
-항산화 효과와 항염화 효과를 보인다.
-잡티가 많은 민감성 피부에 소염 및 진정 작용을 한다.
-햇빛을 막아주는 효과가 있고, 유아용 제품과 핸드크림에 사용한다.
-짙은 금발 색을 내는 염료로 사용한다.
-약간의 염색 효과가 있어 금발용 샴푸나 헤어린스에 사용하기에 적당하다.
-캐비어추출물(Caviar Extract)
EWG의 위험지수: 0
-철갑상어과(Acipenseridae)의 철갑상어 알에서 추출한 것이다.
-피부컨디셔닝제
-보습효과가 있어 피부를 촉촉하게 해주며 피부 재생효과가 있어 상처치유에도 쓰인다.
-캐슈너트오일(Anacardium Occidentale (Cashew) Seed Oil)
EWG의 위험지수: 0
-식물성. 피부컨디셔닝제
-캠퍼(Camphor)
EWG의 위험지수: 4
-캠퍼나무 (Cinnamomum camphora)의 목질에서 유래되거나 합성하여 얻은 케톤이다.
-식물성/화학성. 활성성분. 변성제. 향료. 가소제.
-피부를 진정시키거나 활력을 증강시키는 효과가 있는 성분이며, 가려움증을 없애줄 뿐 아니라 살균 작용 및 소염 효과가 있다.
-주정 형태로 화장수의 성분으로 들어간다.
-캠퍼벤잘코늄메토설페이트(Camphor Benzalkonium Methosulfate)
EWG의 위험지수: 0
-화학성. 자외선 차단 물질로 사용된다.
-캡산틴/캡소루빈(Capsanthin/Capsorubin)
EWG의 위험지수: 2
-파프리카올레오레진에서 유래한 색소이며 주로 캡산틴과 캡소루빈을 함유하는 색소혼합물이다.
-식물성. 카로틴과 유사한 작용을 하는 착색제.
-캣츠클로추출물(Uncaria Tomentosa Extract)
EWG의 위험지수: 0
-캣츠클로 (Uncaria tomentosa)의 전초에서 추출한 것이다.
-복합성. 활성성분. 피부컨디셔닝제.
-커피(Coffea Arabica)
EWG의 위험지수: 2
-식물성. 활성성분.
-색채를 선명하게 하는 효과가 있다.
-커피추출물은 피부 노화를 예방하는 항산화 작용 및 피로 회복에 효과적이다.
-신진대사 및 혈액순환을 촉진한다.
-컴프리뿌리줄기/뿌리추출물(Symphytum Officinale Rhizome/Root Extract)
EWG의 위험지수: 1
-컴프리 (Symphytum officinale)의 뿌리줄기와 뿌리에서 추출한 것이다.
-식물성. 활성성분. 피부컨디셔닝제.
-케라틴(Keratin)
EWG의 위험지수: 2
-동물의 털, 양모, 뿔, 손톱, 발톱 혹은 다른 유사 조직에서 유래된 단백질이다.
-동물성. 활성성분. 모발컨디셔닝제. 피부컨디셔닝제
-보습 효과가 있어 모발 보호용 제품에 주로 사용한다.
-코리엔더에센셜오일(Coriander)
EWG의 위험지수: 0
-미나리과 한해살이 풀로 "고수"라 불린다.
-향료. 감미제.
-독특한 향이 있어 유럽에서는 소스를 만들때 향신료로 사용하며, 화장품에서도 향료로 사용한다.
-코세스-3/-7/-8/-10
EWG의 위험지수: 0
-식물성/화학성. 계면활성제-유화제
-코엔자임에이(Coenzyme A)
EWG의 위험지수: 0
-헤테로사이클릭 화합물이다.
-화학성. 활성성분. 피부컨디셔닝제
-코카마이드(Cocamide)
EWG의 위험지수: 0
식물성. 결합제.
-코카마이드디이에이(Cocamide DEA)
EWG의 위험지수: 6
-코코넛애씨드의 에탄올아마이드의 혼합물이다.
-식물성. 결합제.
-주의사항:피부에 유분기를 공급하지만 발암물질인 '니트로사민'을 형성할 위험이 있다.
-코카마이드미파(Cocamide MIPA)
EWG의 위험지수: 0
-주로 코코넛애씨드의 이소프로판올아마이드의 혼합물이다.
-화학성. 결합제. 계면활성제-거품형성제. 점증제-수용성.
-코카마이드엠이에이(Cocamide MEA)
EWG의 위험지수: 2-4
-주로 코코넛 Cocos nucifera 애씨드의 에탄올아마이드의 혼합물이다.
-화학성. 활성성분. 계면활성제-거품형성제. 점증제-수용성
-소염작용을 한다.
-코카미도프로필베타인(Cocamidopropyl Betaine)
EWG의 위험지수: 5
-화학성. 양성(양쪽성)이온. 정전기방지제. 모발컨디셔닝제. 피부컨디셔닝제. 계면활성제-세정제. 계면활성제-거품형성제. 점증제-수용성
-순한 성질의 계면활성제
-코카미도프로필아민옥사이드
EWG의 위험지수: 0-1
-3급 아민산화물이다.
-식물성. 모발컨디셔닝제. 계면활성제-세정제. 계면활성제-거품형성제. 계면활성제-친수제
-지방 성분을 용해하는 작용과 세정 작용을 한다.
-주의사항:발암물질인 '니트로사민'을 형성할 위험이 있다.
-코카미도프로필하이드록시설테인(Cocamidopropyl Hydroxysultaine)
EWG의 위험지수: 0
-화학성. 양성(양쪽성) 이온이다.
-순한 성질의 계면활성제
-코카민(Cocamine)
EWG의 위험지수: 1
-화학성. 계면활성제. 헤어컨디셔닝제.
주의사항:발암물질인 '니트로사민'을 형성할 위험이 있다.
-코코-글루코사이드(Coco-glucoside)
EWG의 위험지수: 0
-코코넛알코올과 글루코스의 축합반응물이다.
-식물성. 당 성분의 계면활성제-세정제
-매우 부드러운 느낌을 주어 피부 사용감을 향상시켜준다.
-머리 손질을 용이하게 해준다.
-코코글리세라이드(Cocoglycerides)
EWG의 위험지수: 0
-코코넛오일에서 유래된 모노, 디 및 트리글리세라이드의 혼합물이다.
-식물성. 유화안정제. 지방물질. 결합제. 피부유연화제
-수분을 저장하는 기능이 있으며 피부를 매끄럽게 해준다.
-코코넛밀크(Coconut milk)
EWG의 위험지수: 0
-야자나무 열매인 코코넛에서 추출하며, 달콤한 맛이 있어 열대 지방에서는 조미료 혹은 음료로 이용된다.
-코코넛알코올(Coconut Alcohol)
EWG의 위험지수: 0
-식물성. 결합제. 유화안정제. 계면활성제-거품형성제. 점증제-수용성. 점증제-비수용성
-코코넛 오일의 지방알코올이다.
-코코넛애씨드(Coconut Acid)
EWG의 위험지수: 0
-야자 (Cocos nucifera)의 오일에서 유래된 지방산의 혼합물이다.
-식물성. 피부컨디셔닝제. 결합제. 보조유화제. 계면활성제-세정제
-피부를 매끄럽게 하고 유분기를 공급한다.
-코코넛오일(Cocos Nucifera (Coconut) Oil)
EWG의 위험지수:0
-야자 (Cocos nucifera)의 씨를 압착하여 얻은 불휘발성 오일이다.
-향료. 모발컨디셔닝제. 피부컨디셔닝제. 수분증발차단제. 유화제
-코코넛 오일은 머릿결에 수분을 공급하고 윤기있고 매끄럽게 하며, 코코넛 밀크는 피부를 매끄럽고 부드럽게한다. 이국적인 향기로 스파 효과로 사용되어 왔다. 인도네시아 등 열대지역에서 자생하는 코코넛 열매에서 오일을 추출한다.
-코코디모늄하이드록시프로필실크아미노애씨드
(Cocodimonium Hydroxypropyl Silk Amino Acids)
EWG의 위험지수: 0
-복합성. 정전기방지제. 헤어컨디셔닝제.
-코코디모늄하이드록시프로필하이드롤라이즈드밀단백질
(Cocodimonium Hydroxypropyl Hydrolyzed Wheat Protein)
EWG의 위험지수: 0
-복합성. 정전기방지제. 헤어컨디셔닝제. 피부컨디셔닝제. 계면활성제-세정제
-코코-베타인(Coco-Betaine)
EWG의 위험지수: 0-1
-화학성. 양성(양쪽성)이온. 정전기방지제. 모발컨디셔닝제. 피부컨디셔닝제. 계면활성제-세정제. 계면활성제-거품형성제. 점증제-수용성
-코코스야자수(Cocos Nucifera)
EWG의 위험지수: 0
-식물성. 지방물질.
-코코야자나무 열매에서 얻은 성분이며, 피부와 모발을 보호하는 효과가 있다.
-수산화지방 형태로 유탁액이나 색조 화장품의 결합제로 사용한다.
코코일사코신(Cocoyl Sarcosine)
EWG의 위험지수: 2
-사코신의 N-코코일 유도체이다.
-식물성. 모발컨디셔닝제. 계면활성제-세정제
-순한 성질의 계면활성제.
코코-카프릴레이트/카프레이트(Coco-Caprylate/Caprate)
EWG의 위험지수: 0
-코코넛알코올과 카프릴릭애씨드 및 카프릭애씨드의 에스터의 혼합물이다.
-식물성. 용제. 피부유연화제. 피부에 잘 발라지게 하는 물질.
-화장품이 피부에 잘 발라지도록 돕는 유성성분이다.
코코트리모늄클로라이드(Cocotrimonium Chloride)
EWG의 위험지수: 1
-식물성. 정전기방지제. 헤어컨디셔닝제
코쿰씨드버터(Garcinia Indica Seed Butter)
EWG의 위험지수: 0
-코쿰 (Garcinia indica)의 씨에서 추출한 지방이다.
-식물성. 피부컨디셔닝제. 수분증발차단제
코포아수씨드버터(Theobroma Grandiflorum Seed Butter)
EWG의 위험지수: 0
-코포아수 (Theobroma grandiflorum)의 씨에서 얻은 지방이다.
-식물성. 결합제. 수분증발차단제
콘플라워(Centaurea Cyanus (Cornflower) FlowerOrganic cornflower)
EWG의 위험지수: 0
-피부를 진정시켜 준다.
콜라겐(Collagen)
EWG의 위험지수: 1
-콜라겐은 고분자 단백질로 천연 아미노산에서 유도된 비가수분해되어진 천연단백질이다.
-동물성. 활성성분. 모발컨디셔닝제. 피부컨디셔닝제.
-피부의 보습 효과를 높이고, 피부를 매끄럽게 하고 치유하는 기능도 있다.
-피부의 신진대사 활성화 및 보습력 유지를 통하여 항상 탄력있는 피부로 유지시켜준다.
콜라나무씨추출물(Cola Acuminata Seed Extract)
EWG의 위험지수: 0
-콜라나무 (Cola acuminata 또는 Cola nitida)의 씨에서 추출한 것이다.
-식물성. 활성성분. 피부컨디셔닝제
콜레스-10, -20, -24(Choleth-10, -20, -24)
EWG의 위험지수: 3
-평균 10몰로 에톡실화 된 콜레스테롤의 폴리에칠렌글라이콜에텔이다.
-화학성. 계면활성제-유화제
콜레스테롤(Cholesterol)
EWG의 위험지수: 2
-사이클로펜타노페난트렌 시스템의 모노-불포화, 2차 알코올이다.
-복합성. 유화제. 피부컨디셔닝제. 유화안정제. 점증제-비수용성
-피부를 매끄럽게 하며, 소염 효과도 있다.
C10-30 콜레스테롤/라네스테롤에스터(C10-30 Cholesterol/Lanesterol Esters)
EWG의 위험지수: 0
-동물성. 활성성분. 라놀린을 구성하는 성분이며, 탁월한 보습 작용을 한다.
콜레스테릴/베헤닐/옥틸도데실라우로일글루타메이트
(Cholesteryl/Behenyl/Octyldodecyl Lauroyl Glutamate)
EWG의 위험지수: 0
-콜레스테롤, 베헤닐알코올 및 옥틸도데칸올과 라우로일글루타믹애씨드의 혼합 에스터이다.
-복합성. 활성성분. 피부컨디셔닝제. 수분증발차단제
-보습 작용을 한다.
콜레스테릴하이드록시스테아레이트(Cholesteryl Hydroxystearate)
EWG의 위험지수: 0
-콜레스테롤과 하이드록시스테아릭애씨드의 에스터이다.
-생체기술. 활성성분. 유화안정제. 피부컨디셔닝제. 점증제-비수용성
-보습작용을 한다.
콜레칼시페롤폴리펩타이드(Cholecalciferol Polypeptide)
EWG의 위험지수: 0
-복합성. 약용활성성분.
-치료 기능이 있는 비타민 A와 D의 복합체이다.
콜로이달설퍼(Colloidal Sulfur)
EWG의 위험지수: 1
-황과 아카시아의 엷은 황색의 건조된 혼합물이다.
-복합성. 향균물질.
-비듬을 예방하는데 유용한 성분이다.
콜로이달오트밀(Colloidal Oatmeal)
EWG의 위험지수: 0
-곱게 분쇄한 오트밀이다.
-식물성. 피부컨디셔닝제. 스크럽제. 흡수제. 벌킹제. 피부보호제.
-귀리 분말에서 얻는 성분이며, 피부를 매끄럽게 해준다.
-페이셜 마스크에 주로 사용한다.
쿼터늄(Quaternium)
쿼터늄이라 불리는 4가 암모늄 화합물은 머리 손질을 용이하게 하기 위한 모발용 제품에 사용한다. 예외적으로 쿼터늄-18헥토라이트(Quaternium 18 Hectorite) 만이 헤어컨디셔닝제가 아닌 다른 용도로 쓰이는데, 유성 상태에 있는 유탁액의 농도를 증가시키는 목적으로 사용한다. 쿼터늄은 건강뿐만 아니라 자연 생태계에도 해를 끼치는 것으로 추정되고 있다.
쿠마린(Coumarin)
EWG의 위험지수: 7
-방향족 락톤이다.
-식물성/화학성. 착향제.
키네틴(Kinetin)
EWG의 위험지수: 1
-세포 노화 억제 작용이 있는 식물 호르몬이다.
-피부컨디셔닝제
퀴닌(Quinine)
EWG의 위험지수: 2
-복합성. 활성성분.
-기나나무에서 추출한 알칼로이드다.
주의사항:알르레기를 유발하고 피부를 자극할 수 있다.(세포의 원형질에 독성을 나타낸다.)
퀼라야(Quillaja Saponaria)
EWG의 위험지수: 0-2
-식물성. 천연세정물질.
-비누나무 껍질에서 추출한 이 성분은 세정 기능이 있으며, 계면활성제를 대체할 수 있는 순한 성질의 물질이다.
크랜베리(Cranberry)
EWG의 위험지수: 0
-상큼한 맛의 붉은 빛깔 과일 크랜베리는 미국의 추수감사절에 꼭 등장하는 원료 중 하나로, 수세기 동안 민간요법에서 치유와 요리 등에 사용되어져 왔다.크랜베리 씨에서 추출한 오일에는 인체에 필수적인 불포화 지방산이 풍부하여 건강한 피부를 가꾸는데 효과적이다.
큰잎유럽피나무꽃추출물(Tilia Platyphyllos Flower Extract)
EWG의 위험지수: 0
식물성. 활성성분.
클라리추출물(Salvia Sclarea (Clary) Extract)
EWG의 위험지수: 0
-클라리 (Salvia sclarea)에서 추출한 것이다.
-식물성. 활성성분. 착향제.
클레이추출물(Clay Extract)
EWG의 위험지수: 0
-광물성. 활성성분
클로렐라추출물(Chlorella Minutissima Extract)
EWG의 위험지수: 0
-클로렐라 (Chlorella minutissima 또는 Chlorella vulgaris)에서 추출한 것이다.
-식물성. 활성성분.
4-클로로레조시놀(4-Chlororesorcinol)
EWG의 위험지수: 5-6
-화학성. 염모제.
클로로부탄올(Chlorobutanol)
EWG의 위험지수: 2
-배합한도: 0.5%
-할로겐화 된 알코올이다.
-화학성. 방부제.
클로로아세트아마이드(Chloroacetamide)
EWG의 위험지수: 10
-화학성. 방부제
클로로자일레놀(Chloroxylenol)
EWG의 위험지수: 3
-유기화합물이다.
-배합한도: 0.5%
-화학성. 방부제. 탈취제. 살균보존제
클로로펜(Chlorophene)
EWG의 위험지수: 4
-화학성. 방부제
클로로필린-카퍼콤플렉스(Chlorophyllin-Copper Complex)
EWG의 위험지수: 3
-메칠 및 피틸에스터 그룹을 알칼리로, 마그네슘을 구리로 치환하여 클로로필에서 얻은 물질이다.
-복합성. 착색제. 탈취제.
클로브(Eugenia Caryophyllus)
EWG의 위험지수: 5
-식물성. 활성성분.
-소독 효과와 살균 작용이 있는 방향 물질이며, 정향나무 꽃에서 얻는 에센셜오일이다.
클로페네신(Chlorphenesin)
EWG의 위험지수: 2
-배합한도: 0.3%
-유기화합물이다.
-화학성. 방부제.
클로헥시딘디글루코네이트(Chlorhexidine Digluconate)
EWG의 위험지수: 5
-배합한도: 점막에 사용하지 않고 씻어내는 제품은 클로르헥시딘으로서 0.1%, 그 외의 제품은 클로르헥시딘으로서 0.05%
-주로 클로헥시딘과 글루코닉애씨드의 염이다.
-화학성. 방부제.
클로헥시딘디하이드로클로라이드(Chlorhexidine Dihydrochloride)
EWG의 위험지수: 4-5
-화학성. 방부제.
클림바졸(Climbazole)
EWG의 위험지수: 1
-유기화합물이다.
-배합한도: 0.5%
-화학성. 방부제.
키드니베치추출물(Anthyllis Vulneraria Extract)
EWG의 위험지수: 0
-식물성. 활성성분.
키위추출물(Actinidia Chinensis (Kiwi) Fruit Extract)
EWG의 위험지수: 0
-키위 (Actinidia chinensis)의 열매에서 추출한 것이다.
-식물성. 활성성분
-피부 각질제거에 효과적으로 작용하면서 피부를 부드럽게 한다.
-각종 비타민과 무기질 함유로 피부에 영양을 공급한다.
-비타민 C의 다량 함유로 색소침착으로 지저분한 피부를 개선시켜준다.
키토산(Chitosan)
EWG의 위험지수: 1
-디아실레이티드키틴이다.
-동물성. 피막형성제. 모발고정제
키토산글라이콜레이트(Chitosan Glycolate)
EWG의 위험지수: 0
-키토산의 글라이콜릭애씨드염이다.
-복합성. 산화방지제. 피막형성제. 피부컨디셔닝제.
회원에게만 댓글 작성 권한이 있습니다.